송기현의 살림운동
파레토의 법칙(Pareto Principle) 본문
파레토의 법칙은 어느 국가든지 20%의 사람들이 그 나라 경제력의 80%를 지배한다는 경제학적인 이론이다. 경제, 사회학자 빌프레도 파레토(1848~1923년)는 1906년 이탈리아 인구의 20%가 국토의 80%를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이탈리아만이 아니라 어느 나라 어느 시대에도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경제적 결과물은 20%의 경제적 핵심세력들과 나머지 80%의 비핵심 경제세력의 경제활동이 결정한다. 핵심적인 소수가 다수를 능가하는 큰 일을 해 내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국가 뿐 아니라 조직에서도 적용되는 법칙이다. 그런데 이러한 법칙은 인간 사회에만 적용되는 법칙이 아니다.
일본의 한 생태학자가 개미의 생태를 연구한 결과 모든 개미가 다 근면하고 일을 열심히 하는 것이 아니라 개미의 집단 중에 20%의 개미만이 열심히 일하고 나머지는 집 근처에서 그저 시간만 보냈으며, 열심히 일하는 20%의 개미만을 모아 새로운 개미집단을 만들었더니 놀랍게도 그 가운데서 20%만이 열심히 일하고 나머지 80%는 빈둥거리는 개미 집단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게으른 80%의 개미만 모아놓은 집단에서 다시 20%는 열심히 일하는 개미집단이 되더라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군집생활을 하는 거의 모든 생명체에서 발견되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모두가 다 똑같이 공헌을 하고 모두가 다 그 열매를 함께 나누며 산다면 그것처럼 아름답고 바람직스러운 일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희망 사항일 뿐 대부분의 결과물들은 이러한 20:80의 법칙에 의해서 만들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20:80의 비율, 그래서 이 파레토의 법칙을 ‘최소노력의 법칙’또는‘행운의 법칙’으로도 불린다. 20%만 바뀌면 80%는 그 영향에 의해서 이끌려가게 되는 것이다. 즉 부, 노력, 투입량, 원인의 작은 부분이 대부분의 부, 성과, 산출량, 결과를 이루어 낸다는 것이다. 20%의 소비자가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하는 경향, 국민의 20%가 전체 부(富)의 80%를 차지하는 경향, 직장에서 20%의 근로자가 80%의 일을 하는 경향 등이 그것이다.
나는 어디에 집중하고 있는가? 나는 어디에 속하여 있는가? 나는 20%에 속한 사람인가? 아니면 80%에 속한 사람인가? 이 질문은 자신의 존재적 증명을 해보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해보아야 할 질문이다. 매 순간 이 질문을 하고 산다면 좋은 인생을 살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살림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막과 사막화의 해에 붙여 (0) | 2006.01.07 |
---|---|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합니다 (0) | 2005.11.17 |
적은 능력을 가지고도 (0) | 2005.10.03 |
하얀 띠 매기 (0) | 2005.09.20 |
속사람을 새롭게 (0) | 2005.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