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기현의 살림운동
어찌하여 자느냐?(눅 22:39~46) 본문
어찌하여 자느냐?
눅 22:39~46
22:39 예수께서 나가사 습관을 따라 감람 산에 가시매 제자들도 따라갔더니
22:40 그 곳에 이르러 그들에게 이르시되 유혹에 빠지지 않게 기도하라 하시고
22:41 그들을 떠나 돌 던질 만큼 가서 무릎을 꿇고 기도하여
22:42 이르시되 아버지여 만일 아버지의 뜻이거든 이 잔을 내게서 옮기시옵소서 그러나 내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 하시니
22:43 천사가 하늘로부터 예수께 나타나 힘을 더하더라
22:44 예수께서 힘쓰고 애써 더욱 간절히 기도하시니 땀이 땅에 떨어지는 핏방울 같이 되더라
22:45 기도 후에 일어나 제자들에게 가서 슬픔으로 인하여 잠든 것을 보시고
22:46 이르시되 어찌하여 자느냐 시험에 들지 않게 일어나 기도하라 하시니라
우리가 사는 세상에는 잠 때문에 생긴일들이 참 많습니다. 잠 때문에 시험시간을 놓친사람, 잠 때문에 화재를 만난 사람, 잠 때문에 난 교통사고, 잠 때문에 발생하는 수 많은 사건사고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습니다. 잠은 잘 시간에 자면 복된 것이지만 자서는 안될 시간에 자면 불행이 되는 것입니다.
오늘 본문 말씀도 잠에 얽힌 신앙적인 이야기 중에 하나입니다.
예수님께서 습관을 따라 감람산으로 가셔서 자신 앞에 닥친 문제를 놓고 기도하셨습니다.
본문 42절에 예수님의 기도의 내용이 요약되어 있습니다. "아버지여, 만일 아버지의 뜻이거든 이 잔을 내게서 옮기시옵소서. 그러나 내 원대로 마옵시고 아버지의 원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
예수님의 습관 중에 기도하는 습관은 성경에서 언급하고 있는 잘 알려진 습관입니다.
습관을 가질려면 좋은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좋은 습관을 가지고 있으면 인생 자체가 좋은 인생이 되고 나쁜 습관을 가지면 나쁜 인생이 됩니다.
예수님은 평소에도 기도의 습관대로 기도하는 일에 힘쓰셨지만 십자가를 앞에 두고 겟세마네 동산에서의 기도는 "힘쓰고 애써 더욱 간절히 하는 기도였으며 땀이 땅에 떨어져 핏방울 같이 되도록까지"(43절) 기도하는 그런 기도였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습관에 따라 감람산으로 기도하려 가시면서 12제중에서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데리고 가셨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유혹에 빠지지 않게 기도하라"고 부탁하시고 그들을 떠나 돌 던질 만큼의 거리로 나아가서 무릎을 꿇고 기도하셨습니다.
그런데 예수님과 함께 했던 세 명의 제자인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은 육신의 피곤에 빠져 깊이 잠들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열 두 제자 중에서 그래도 나은 세 명을 뽑아서 함께 하게 하셨지만 그들조차도 깨어있지 못했습니다.
특히 오늘 본문 말씀에 보면 이들은 '슬픔으로 인해 잠들었다.'(45절)고 했습니다. 이들은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십자가 죽음을 구체적으로는 알지 못했지만 자신들의 꿈이 깨어지는 슬픔으로 몰려왔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이기는 것은 잠을 자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문제가 있고 슬픔이 있으면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어떤 사람들은 폭식을 하기도 하고, 어떤 사람들은 방문을 걸어잠그고 잠에 빠지기도 하고 어떤 사람들은 방황하며 거리를 헤메이기도 합니다.
역경을 만났을 때 우리가 해서는 안될 것 3종 세트가 있습니다.
1, 마음마저 인색해지는 것입니다. 역경을 만났을 때 사람의 마음이 인색해지기 쉽습니다.
2, 안달하며 초조해하는 것입니다. 역경을 만나고 여러움에 처하게 되면 안달이 나고 초조해지게 됩니다.
3, 발버둥을 치며 돌아다니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런 마음가짐으로는 역경에서 벗어나기는 커녕 오히려 그것에 더 깊이 빠지고 말기 때문입니다. 이런 것들은 영적인 눈으로 보면 영적 잠을 자고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이렇게 잠든 제자들을 보시며 "어찌하여 자느냐? 시험에 들지 않게 일어나 기도하라."고 하신 것입니다.
지금 이 시간 제자들이 처한 상황은 분명 잠을 자서는 안될 시간이었습니다. 그런데 제자들은 잠들고 말았습니다. 영의 잠은 육신의 잠을 부르며, 육신의 잠은 기도를 쉬게 하여 영의 삶이 시험에 들게 합니다.
지금 우리가 사는 이 시대는 영이 잠들어 육신에 얽매이게 하고, 육신의 피곤함으로 기도까지 쉬게 하는 영적 생명의 위기시대입니다. 살전 5:6절에서 "그러므로 우리는 다른 이들과 같이 자지 말고 오직 깨어 정신을 차릴지라."고 하셨으며, 벧전 5:8절에서는 "근신하라. 깨어라. 너희 대적 마귀가 우는 사자같이 두루 다니며 삼킬 자를 찾나니"라고 하십니다. 지금 우리는 깨어서 정신을 차리고 기도해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어찌하여 자느냐?'하고 주님이 제자들에게 말씀하신 것은 잠잘 때가 아닌데 왜 자느냐?하고 물으신 것입니다.
잠을 자야 할 때라고 하면 "잘 자거라" 혹은 "잘 잤느냐?"하셨을 것입니다.
잠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잠은 소중한 것입니다. 인간의 기본적 욕구가 여러 가지 있다고는 하지만, 성욕만 해도 참고 길게는 평생 버틸 수도 있습니다. 식욕은 그래도 쓰러지기 전에 몇 주는(수분은 섭취한다 치고) 버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잠은 희귀한 특수체질이 아니라면 고작 며칠만 참아도 정신이 혼미해지며, 곧바로 죽음의 문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만큼 모든 본성 중에 잠이야말로 으뜸으로 원초적이며, 잠을 방해하는 것은 큰 스트레스를 부르게 됩니다. 시127:2에 "너희가 일찍이 일어나고 늦게 누우며 수고의 떡을 먹음이 헛되도다 그러므로 여호와께서 그의 사랑하시는 자에게는 잠을 주시는도다"라고까지 말씀하셨습니다. 정상적으로 잠들 장소와 시간에 잠을 잘 자는 것은 축복입니다.
독일에서는 애나 어른이나 밤에 충분히 잠을 잔다고 합니다. 잠을 줄여가며 뭔가를 한다는 생각은 아예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특히 초등학교 아이들은 저녁 일곱시만 되면 대부분 잠자리에 듭니다. 한 여름에도 대여섯시만 되면 길에 돌아다니는 아이들이 없을 정도로 어려서부터 잠자는 시간을 정확하게 지키는 것이 습관화되어 있습니다.
근면하기로 이름난 독일인들도 잠잘 때는 반드시 잠을 잔다는 것입니다. 잠을 줄이거나 설치면 며칠은 견딜 수 있지만 오래 버티지는 못합니다. 잠자는 시간 하나에 그 사람의 건강과 장래와 행복이 달려 있습니다. 잠은 건강의 기초이고 기본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정상적으로 잠들 장소와 시간이 아닌데 잠들어 있다거나 잠든 것을 깨워야 할 장소와 시간에도 여전히 잠들어 있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오늘 본문 말씀은 주님께서 겟세마네에서 홀로 조용히 기도를 하시기 위해서 제자들에게는 한 곳에 앉아있으라고 명하시고는 베드로와 세베데의 두 아들만 데리고 기도하실 장소로 가셨습니다. 이어서 우리 주님은 베드로와 나머지 두 사람에게 마음의 번민을 토로하셨습니다. 마태복음에 보면 "내 마음이 매우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 너희는 여기 머물러 나와 함께 깨어 있으라" 하셨습니다. 그런데도 첫번째 사명을 받고 두번째 세번째까지 예수님이 확인하실 때마다 그들은 깨여 있지 못했습니다. 자기를 깨우지 못했습니다. 시험에 들지 않고 깨어 기도해야 할 시간에 잠을 자고 있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은 주님과 함께 깨어 기도할 대표자로 뽑혀 온 자들입니다. 그런데 그 사명을 망각한 것입니다.
로마서 13:11절에서 "또한 너희가 이 시기를 알거니와 자다가 깰 때가 벌써 되었으니 이는 이제 우리의 구원이 처음 믿을 때보다 가까웠음이라."고 하십니다. 즉 지금 우리가 사는 시대는 잠들어 있어야 할 때가 아닙니다. 어떤 잠입니까? 육신의 잠과 영의 잠 모두를 말씀하십니다. 육신의 잠과 영의 잠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좀전에도 말씀 드렸습니다만 믿음의 사람들중에는 세상적인 어려움이 닥칠 때, 순간적으로 신앙을 잃고 방황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어려움을 더욱 가중 시키게 됩니다. 그래서 주님은 성도들에게 위기가 닥쳐올 때에 그 위기를 더욱 가중시키는 위험을 일깨우셨습니다. 영이 잠든다는 것은 육신에 얽매이며, 세상적인 근심과 걱정들이 몰려옴을 의미합니다. 영이 잠들면 세상의 염려들이 엄습하게 되고, 마음은 가시밭처럼 황량하게 변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예수님께서 "어찌하여 자느냐?"라고 하신 물음은 '지금이 위기의 때'라는 경고입니다. 지금은 육신의 잠이든지 영의 잠이든지 정신을 차리고 깨어 있어야 할 때임을 일깨워주시는 질문입니다. 이는 육신적인 위기가 영의 위기로 발전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조치이기도 합니다.
하나님의 자녀가 영이 잠들면 시험에 빠지게 됩니다. 영이 잠드는 순간 육신의 생각이 봇물 터지듯 몰려듭니다. 이 때 주님께서 질문을 던지십니다. "어찌하여 자고 있느냐?" 이 질문을 받을 때 잠에서 깨어 벌떡 일어나 정신을 차리고 살아야 할 줄로 믿습니다.
'예수님의 질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과 뭉치를 가지고 나왔느냐?(눅 22:52~53) (0) | 2020.01.30 |
---|---|
네가 입맞춤으로 인자를 파느냐?(눅 22:47~51) (0) | 2020.01.17 |
요한의 세례가 하늘로부터냐 사람으로부터냐?(눅 20:1~8) (0) | 2019.11.15 |
네게 무엇을 하여 주기를 원하느냐?(눅 18:35~43) (0) | 2019.11.15 |
세상에서 믿음을 보겠느냐?(눅 18:1~8) (0) | 2019.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