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기현의 살림운동
밭을 삼의 비유(토지매입의 비유)(렘 32:1-15) 본문
오늘 저녁에 우리가 함께 나눌 비유의 복음은 "토지매입의 비유"가 되겠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예레미야에게 지금 당장 필요도없는 밭을 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예레미야는 그 말씀에 순종을 하여 아무 현실적인 이익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그 밭을 매입하였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토지를 매매하고 매입하는 그런 내용의 말씀이 아닌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의 비유로 보고 해석을 해야 마땅합니다. 그러므로 오늘 본문 말씀이 비유하는 바 그 의미를 밝혀보아야 그 뜻을 알 수가 있는 것입니다.
성경 본문에서 보여주고 있는 현재의 유대나라와 유대 백성의 처지는 정치, 경제, 종교 모든 방면에서 희망이 전혀 보이지 않는 암흑과 절망의 시대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레미야의 뜻밖의 토지 매입 행위를 통하여 하나님은 유대백성들에게 희망을 주기를 원하셨고 하나님의 뜻이 어디에 있는가를 그림을 보여주듯이 확실하게 보여주시기를 원하셨던 것입니다.
본문말씀에서 보면 지금의 유대는 온 나라가 황폐되어 버렸고 마지막 남은 예루살렘도 바밸론에 함락되어 곧 온 백성들이 사로잡힘바가 되고 말 그런 때였습니다. 그러는 중에 예레미야가 밭을 사는 행동은 15절의 말씀과 같이 "집과 밭과 포도원을 다시 사게 될 때"가 곧 반드시 올 것을 예고하는 뜻을 담고 있는 것입니다.
본문 말씀으로 돌아가서 다시 말씀을 묵상해 봅시다.
어느 날 시위대 뜰에 갇힌 예레미야에게 하나님의 예언이 임했습니다.
곧 작은 아버지의 아들 하나멜이 밭을 팔려고 너를 찾아 온다는 겁니다. 그리하면 너는 아나돗에 있는 하나멜의 땅을 거절하지 말고 사라고 명령하셨던 것입니다.
하나님 말씀대로 아나돗 사람 하나멜이 옥사에 갇혀있는 예레미야에게 찾아와 아나돗에 있는 자기 밭을 사달라고 했습니다. 하나멜은 예레미야의 친족으로 자기의 땅을 살 수 있는 사람은 예레미야 뿐이라고 하면서 예레미야에게 찾아와 밭을 사도록 강권한 것입니다. 오죽 다급했으면 하나멜이 갇혀있는 사촌을 찾아왔겠습니까? 땅을 살 사람을 찾다 못해 감옥에 있는 예레미야를 찾아 온 겁니다. 이것은 예루살렘이 바벨론에 의해서 함락을 당하여 포로로 끌려가면 토지가 무슨 소용이냐 하는 생각이었을 것입니다. 유대땅에서 어떻게 농사를 짓겠으며 집을 짓겠느냐하는 마음으로 자신의 밭을 예레미야에게 사도록 한 것입니다. 주권을 행사할 수 없는 땅이라면 지금 당장 팔아버리는 것이 이득이겠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참으로 약삭빠른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뜻밖에 예레미야가 그 밭을 순순히 사겠다는 겁니다. 게다가 후하게 가격을 쳐줬습니다. 이건 이해할 수 없는 처사였습니다. 곧 전쟁이 일어나 나라가 망하는데도 예레미야는 토지를 매입한 것입니다. 그리고 나서 예레미야가 이렇게 예언합니다. 15절입니다.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사람이 이 땅에서 집과 밭과 포도원을 다시 사게 되리라 하셨다 하니라." 예레미야가 전쟁 터지기 일 년 전에 아나돗의 땅을 은 칠십 세겔을 주고 산 것은 나중에 시세 차익을 얻기 위해 산 게 아닙니다. 어려운 때를 이용해 부덕하게 투기한 게 아닙니다. 하나님이 아나돗 땅을 절대 버리지 않고 회복시키실 것이라는 희망의 고백이었습니다. 반드시 하나님이 유다를 회복하시어 그 땅에 대한 주권을 회복케 하신다는 것입니다.
오늘 말씀을 보면 하나멜이 밭을 팔아버린 것은 단순히 땅을 판 것이 아니라 이것은 내일을 팔아버리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왜냐하면 불레셋의 침략은 일순간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잠시 후면 하나님께서 그 땅을 회복 시켜 줄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멜은 하나님의 말씀을 믿지를 못하고 아주 헐값에 자신의 밭을 예레미야에게 팔아버린 것입니다.
이것은 에서가 동생 야곱에게 팥죽 한그릇에 장자의 명분을 팔아버린 것과 다를바가 없는 것이었습니다.
고난에는 유효기간이 있습니다.
감정이나 감각이나 이런 모든 것들은 유효기간이 있습니다. 반드시 지나가게 되어있습니다.
예례미야도 선지자였고 하나멜도 선지자였습니다. 그러나 그 시각 차는 전혀 달랐습니다.
예레미야는 밭을 샀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른 것이며 하나님의 말씀에 따른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투기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이것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교훈을 주기 위함이었으며 너도나도 밭 팔고 논팔아 외국으로 피난을 떠나거나 살 소망을 잃어버리고 낙심하고 있을 때 선지자 예레미야로 하여금 밭을 사게 함으로써 내일에 대한 희망을 갖도록 한 것입니다. 하나님의 사람 선지자가 망해가는 나라의 밭을 사고 있는 것을 보고 하나님께서는 그 백성들도 희망을 갖기를 바라신 것입니다.
예레미야는 내일의 희망으로 밭을 샀습니다. 미래를 산 것입니다. 비록 지금은 나라가 망해서 뿔뿔히 흩어질 수 밖에 없는 비운의 백성이지만 언젠가는 다시 돌아와 사놓은 땅에서 농사할 날이 반드시 있을 것임을 확신하는 가운데서 밭을 산 것입니다. 다른 사람은 다 의심하고 희망을 잃어버렸을지라도 예레미야는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예레미야는 여전히 내일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바벨론을 잠시동안 채찍으로 사용하시고 회초리로 사용하시며 사용하신 후에는 그 채찍과 회초리를 잘라버리시며 꺽어버리겠다는 약속의 말씀을 굳게 믿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예레미야가 밭을 산 것은 바로 이 믿음 때문이었습니다.
여러분의 시각이 오늘의 고난에 맞추어져 있는지 내일의 소망에 맞추어져 있는지 잘 살펴보시기를 바랍니다.
"꿈이 없는 백성은 방자히 행한다"는 말씀이 있습니다. 방자히 행하는 것은 결국 망할 길을 가는 것입니다. "백성이 지식이 없어서 망한다"는 말씀도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의 지식이 없으면 망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예레미야를 통해 황당한 땅 구매 사건에 담긴 메시지를 잊지 마십시다. 결코 희망을 포기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반드시 그 땅을 되찾게 하시고 소유권을 갖게 하심을 확신하라는 겁니다. 또한 어렵고 힘들 때 미래를 위해 준비하고 투자하라는 겁니다. 이렇게 하지 못하면 희망이 없습니다. 이 원리와 원칙은 사업에도 가정에도 교회에도 적용되어야 옳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백성들은 오늘만을 사는 사람들이 되어서는 않됩니다. 하나님 백성들은 오늘을 성실하게 살지만 그것은 곧 내일 위한 것입니다.
오늘에 지쳐서 내일을 포기하는 사람이 없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비유의 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브라데 강에 던지워진 책(렘 51:59-64) (0) | 2019.04.04 |
---|---|
감추인 돌(렘 43:8-13) (0) | 2019.04.04 |
줄과 멍에의 비유(렘 27:1-11) (0) | 2019.04.04 |
깨어진 옹기의 비유(예레미야 19:1-12) (0) | 2019.04.04 |
포도주로 가득찬 병(렘 13:12-14) (0) | 2019.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