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기현의 살림운동
후발효차인 보이차 본문
내가 주로 마시는 차는 보이차입니다. 처음엔 녹차를 마시다가 녹차를 반발효시킨 반발효차로 그리고 언제부터인가 후발효차인 보이차를 마시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변화를 거치게 된 것은 내 몸에 맞는 차를 찾아나서는 과정이기도 했고, 그리고 좀더 깊은 차맛을 찾아나가는 과정이기도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녹차류는 그 기간의 유한성 때문에 한계성을 느낄 수 밖에 없었는데 보이차는 보관할수록 가치가 있고 맛이 더 좋아지니 매력적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후발효차인 보이차는 차창과 그 진기에 따라서 맛이 변화무쌍합니다. 알아가고 맛보아가는 것이 참 재미있습니다. 거기다가 몸에까지 좋으니 참 괜찮은 취미생활이기도 합니다.
보이차는 녹차나 홍차와도 구별되는 특종 차로 분류됩니다. 보이차의 원산지는 중국 운남 서(西)쪽 란창강 유역이며 운남 대엽종(大葉種) 차나무의 싱싱한 잎을 말린 것을 원료로 합니다. 증기로 쪄서 압제 성형한 각종 긴압차(堅壓茶:찻잎을 증기로 쪄서 부드럽게 하여 덩어리 모양으로 압축한 차)와 산차(散茶)를 일정한 기간 저장하여 변화시킨 것 혹은 인공으로 쌓아 놓고 발효 시킨 것이 보이차와 보이산차입니다. 보이차는 크게 생차와 숙차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당해 생산되어 인공 발효되지 않은 보이차를 생차라고 합니다. 숙차에는 인공적으로 발효가 될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숙성시킨 인공발효숙차와 일정기간 생차를 보관하여 숙성된 자연발효숙차가 있습니다. 생차는 20년 이상의 발효가 있어야 상시적으로 음다하기에 편하고 더 좋은 맛과 향을 느낄 수으려면 더 긴 묵힘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진기에 따라 상품의 가치는 엄청나게 달라집니다. 진기가 올라갈수록 그 가치도 올라갑니다. 이로인해 보이차의 소장가치가 생겨나고 보이차의 진위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보이차는 진위가 없습니다. 있다면 포장지에 기록된 대로 된 재료를 사용했는지, 그리고 정상적인 제조과정을 거쳤는지, 그리고 진기를 속이지 않았는지의 문제일 것입니다. 질적인 문제가 있을지언정 보이차는 다 보이차입니다.
보통 생차를 청병, 인공발효숙차는 발효숙병, 자연발효숙차를 생차 노숙병이라고 칭합니다. 보이차는 모양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병차(餠茶) : 동그랗게 빈대떡처럼 생긴차, 2) 타차 : 만두처럼 생긴차, 3) 전차 : 벽돌처럼 직사각형으로 만든차, 4) 방차(方茶) : 정사각형으로 만든차, 5) 고타차 : 송이버섯처럼 만든차, 6) 보이산차(散茶) : 잎차 형태인 보이차, 6) 금과공차 : 호박형태로 만든 차, 7) 기타 대나무통이나 대나무발에 긴압하여 만든 차인 죽통차나 차주차 등이 있고 그 크기는 차 종류마다, 형태마다 각기 다릅니다. 이런 저런 차를 모아가면서 가족과 함께 그리고 지인들과 함께 차를 나누는 재미가 만만치 않습니다. 권할 것이 많지만 그 중에 하나가 차 생활입니다. 그 중에서도 발효차를 마실 것을 권합니다. 차나 차도구를 모으는 재미도 있고 정신과 육체에도 좋고 두루 두루 좋습니다.
'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반사(茶飯事) (0) | 2009.08.05 |
---|---|
보이차의 보관방법 (0) | 2009.07.21 |
그 끊을 수 없는 즐거움 (0) | 2009.06.30 |
차가 좋아 차를 마시는 것일뿐 (0) | 2009.04.14 |
차 맛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0) | 2009.03.27 |